초보자를 위한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알파벳 순 용어 정리
계정(Account)Ledger Live의 계정을 통해 사용자는 암호화폐 잔금을 추적하고 자금을 받기 위해 공유할 수 있는 주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주소(Address)블록체인으로 보안이 유지되는 지갑을 표시하는 문자열(일반적으로 문자와 숫자로 구성됨)을 말합니다. 주소는 모든 사람과 안전하게 공유하여 암호화폐를 받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에어드랍(Airdrop)인식 확대와 배포를 위해 코인이나 토큰을 여러 지갑 주소로 보내는 것과 관련된 배포 메커니즘으로, 더스팅 공격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BEP2바이낸스 체인이 발행하고 보호하는 토큰으로, BEP20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BEP20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이 발행하고 보호하는 토큰으로, BEP2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바이낸스 체인(Binance Chain)2019년에 바이낸스가 출시한 블록체인으로 바이낸스의 거래 업무를 분산시키고자 설계되었습니다. 바이낸스 체인은 BEP2 토큰의 발행 및 전송도 지원합니다. |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inance Smart Chain)2020년 바이낸스가 출시한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으로 이더리움과 유사하지만, 지분증명방식(POS)으로 실행되며 빠른 트랜잭션 시간을 위해 최적화되었습니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은 BEP20 토큰의 발행 및 전송도 지원합니다. |
BIP비트코인 개선 제안(Bitcoin Improvement Proposal)의 약자로 비트코인 프로토콜에 대한 변경을 제안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의미합니다. |
BIP39시드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12/18/24개 구성의 단어로 전환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화된 기술입니다. |
비트코인(Bitcoin)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이며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한 P2P 전자화폐 시스템으로 2009년 출시되었습니다. |
블록(Block)블록체인에 기록된 암호화 트랜잭션 번들 |
블록 타임(Block time)암호화 네트워크에서 새 블록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말하며 비트코인의 경우 새로운 블록이 생산되기까지 평균 10분 정도 소요됩니다. |
블록체인(Blockchain)투명함, 견고함, 탈중앙화에 최적화된 데이터 구조를 말합니다. |
코인(Coin)암호화 네트워크의 기본 암호화폐입니다. 예를 들어, ETH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기본 코인이고, BTC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기본 코인입니다. 토큰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콜드월렛(Cold wallet)개인 키를 오프라인 상태로 유지해 주는 암호화폐 지갑의 한 유형으로 암호화폐를 저장하는 가장 안전한 형태의 지갑입니다. Ledger 장치는 콜드월렛 카테고리에 속합니다. |
확인(Confirmation)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은 확인된 것으로 간주하며 모든 후속 블록은 또 다른 확인을 의미하며 트랜잭션의 완결성을 개선합니다. |
등가(Countervalue)명목 또는 다른 암호화폐 용어로 표현되는 암호화 화폐의 가치를 말합니다. |
디앱(DApp)암호화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앱을 의미합니다. |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Decentralized Finance, DeFi)은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금융을 재구축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며 중앙화 금융(Centralized Finance, CeFi)의 반대 개념입니다. |
파생 경로(Derivation Path)Ledger 장치에 키 트리 내에서 특정 키를 파생시키는 방법을 알려주는 인덱스와 유사한 데이터 조각을 의미합니다. |
DEX탈중앙화 거래소(DEX)는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비수탁형 마켓플레이스이며 DEX 사용자는 중앙의 제 3자에게 자산을 예치하지 않고 한 지갑에서 다른 지갑으로 암호화폐를 바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계정 또는 주소에 저장된 암호화 자금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일부로 디지털 서명은 전통적인 친필 서명과는 달리 사람이 아닌 개인 키에 연결됩니다. |
ERC20 토큰이더리움 네트워크가 발행하고 보호하는 토큰으로 BEP20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이더(ETH)이더리움(Ethereum)의 기본 암호화 화폐로 가스비 지불 및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더리움(Ethereum)2015년에 출시된 범용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으로 현재 암호화폐 디파이(DeFi) 생태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합니다. |
거래소(Exchange)암호화폐를 매매할 수 있는 곳으로 일부 거래소에서는 파생상품 거래, 스테이킹, 관리 등의 부가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는 중앙화 거래소(CEX) 또는 탈중앙화 거래소(DEX)가 될 수 있으며 CEX 사용자는 거래하기 전에 자신의 자산을 거래소에 맡겨야 하지만 DEX를 이용하면 Ledger 지갑에서 바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
탐색기(Explorer)블록체인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트랜잭션을 추적하고 계정 및 주소를 검색하는 데 유용합니다. |
명목 화폐(Fiat currency)정부가 발행하고 집행하는 통화(ie: USD, EUR, RMB 등) |
완결성(Finality)암호화폐 트랜잭션이 취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률론적 보증 |
가스(Gas)가스는 이더리움과 같은 일부 블록체인에 힘을 실어 주는 디지털 연료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구체적으로, 가스는 특정한 암호화 트랜잭션을 실행에 필요한 연산 단계의 수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단계가 복잡할수록 더 많은 가스가 필요합니다. |
가스 한도(Gas limit)사용자가 특정 트랜잭션을 실행하기 위해 지불하고자 최대 가스의 단위로 가스 한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가스 부족'으로 인해 복잡한 특정 트랜잭션의 실패로 이어집니다. |
가스 가격(Gas price)가스 한 단위에 대해 사용자가 준비하는 지불 가격으로 보통 가스 가격은 암호화 네트워크의 기본 암호화폐로 지불됩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에서 가스비는 항상 ETH로 지불됩니다. |
그웨이(Gwei)암호화폐 이더(ETH)의 가장 작은 단위로 1 gwei = 0.000000001ETH 입니다. |
반감기(Halving)비트코인 및 비트코인과 비슷한 암호화 네트워크에서 하드 코딩되는 블록 보상이 자동으로 50% 감소함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에서는 21만 개의 블록(약 4년마다)이 채굴되거나 2천100만 개의 비트코인이 채굴될 때마다 반감기가 발생하며 현재 비트코인 블록 보상은 채굴된 블록 한 개 당 6.25 BTC입니다. |
하드 포크(Hard Fork)이전 규칙과 호환되지 않는 암호화 네트워크 규칙 변경을 의미하며 하드 포크는 네트워크 분할 및 경쟁 암호화 통화를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해시(Hash)해시 함수가 리턴하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고정된 크기의 문자 및 숫자 문자열을 의미합니다. |
해시 함수(Hash Function)임의 크기의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해시에 맵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수학적 일방향 함수(예: SHA256)로 같은 값을 입력하면 항상 동일한 해시를 생성합니다. |
계층적 결정성(HD) 지갑Ledger Nano 장치를 포함하는 암호화 지갑의 한 카테고리입니다. HD 지갑은 시드(seed)라고 하는 무작위 번호를 생성하고 그 시드를 사용하여 트리에 구성된 엄청난 양의 개인 키를 파생시킵니다. 개인 키는 암호화폐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며 장치의 보안 칩에 저장됩니다. |
핫월렛(Hot wallet)인터넷과 연결된 암호화폐 지갑의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핫월렛은 콜드월렛보다 안전하지 않습니다. 콜드월렛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비트코인 확장 솔루션으로,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보안을 유지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라이트닝 호환 지갑 사이의 빠른 자금 전송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
유동성(Liquidity)시장의 깊이를 알아보는 척도를 의미합니다. 유동성 높은 시장은 통상적으로 비유동적인 시장보다 나은 가격을 제공하며, 더 많은 매매 주문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
메타마스크(MetaMask)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아발란체 등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와 디앱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유명 암호화폐 지갑 앱으로 Ledger Live 앱 대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마이그레이션(Migration)스왑(swap)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암호화폐가 새로운 블록체인상에 배포되거나 동일한 블록체인상의 새로운 주소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그레이션이 일어납니다. 마이그레이션 시, 일반적으로 기존 암호화폐 보유자는 새로운 암호화폐로 스왑해야 합니다. |
채굴자(Miner)암호화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구성하고 처리하는 영리 기업 또는 개인을 의미합니다. |
채굴(Mining)암호화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구조화한 후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어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에서 블록을 승인하도록 만드는 행위로, 비트코인 채굴에는 많은 특수 장비가 필요합니다. |
NFT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암호화폐 같은 고유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이더리움상에서, NFT는 ERC721 표준이라고 하는 일련의 규칙에 따라 생성되고 전송됩니다. |
노드(Node)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작성, 수신 또는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내 연결 지점을 의미합니다. 암호화 네트워크에서는 노드가 네트워크 트랜잭션 내역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저장하기도 합니다. |
논스(Nonce)특정 암호화 계정이 실행하는 트랜잭션의 수를 추적하는 디지털 카운터입니다. |
패스프레이즈(Passphrase)Ledger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선택적 보안 기능으로, 실제로는 보안 강화를 위해 복구 문구를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25번째 단어의 형식을 취합니다. 패스프레이즈를 분실하는 경우 전체 복구 문구를 잃게 됩니다. |
PIN 코드(PIN code)아무나 액세스 할 수 없도록 Ledger 장치를 보호하는 4~8자리 숫자를 말하며 PIN 코드 세 번 잘못 입력하면 공장 설정으로 리셋됩니다. 복구 문구 또는 패스프레이즈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프라이버시(Privacy)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보호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
핫월렛(Hot wallet)인터넷과 연결된 암호화폐 지갑의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핫월렛은 콜드월렛보다 안전하지 않습니다. |
개인 키(Private key)특정한 암호화 주소 또는 계정에서 지출을 제어하는 고정된 크기의 문자열로 계정 또는 주소에 개인 키가 있는 모든 사용자는 트랜잭션에 서명하여 저장된 자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개 키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지분 증명(POS)특별한 하드웨어를 실행하기보다는 코인 스테이킹을 통해 채굴이 이루어지는 합의 메커니즘으로 작업증명(POW)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작업증명(POW)전문 하드웨어를 실행해 채굴하는 컨센서스 메커니즘으로 지분증명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공개 키(Public key)개인 키로 계산된 고정 크기 문자열로, 해당 개인 키로 생성된 서명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복구 문구(Recovery Phrase)또한, 니모닉 문구라고도 알려진 복구 문구는 설정 시에 새로운 Ledger 장치에서 생성되는 연속된 24개의 단어를 의미하며 모든 복구 단어는 BIP39 목록이라고 하는 표준화된 목록에서 무작위로 선택됩니다. 복구 문구는 개인 키를 계산할 수 있는 시드(seed)라고 하는 무작위의 숫자를 암호화합니다. 복구 문구에 액세스 가능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복구 문구로 보호받는 자금에 액세스 할 수 있으므로 타인과 공유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비트코인을 만들어낸 익명의 창시자이며 사토시는 2011년 비트코인 프로젝트에서 철수했습니다. |
보안 칩(Secure Element)모든 Ledger 장치에 사용되는 보안 마이크로칩으로 보안 칩의 주요 기능은 시드 및 개인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입니다. |
시드(Seed)사용자의 Ledger 장치에서 생성되어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복구 문구로 암호화된 무작위의 숫자를 의미합니다. 이 시드를 이용해 마스터 개인 키를 파생시킨 후 사용자 코인의 보안을 유지하는 하위 개인 키를 파생시킬 수 있습니다. 복구 문구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세그윗(SegWit)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트코인 소프트 포크로, 비트코인 블록이 만들어지는 방법을 수정했습니다. 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효과적으로 약간 더 큰 블록을 만들 수 있었고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버그를 제거했습니다. |
사이드체인(Sidechain)상위(일반적으로 더 큰) 암호화 네트워크에서 파생되는 보안에 기대는 암호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리퀴드 네트워크(Liquid network)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사이드체인입니다. |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블록체인에 저장된 하나의 코드로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자동으로 실행하게 하고(x이면 y) 값 전송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소프트 포크(Soft fork)이전 규칙과 호환되는 암호화 네트워크 규칙 변경을 의미합니다. 소프트 포크는 비트코인 프로토콜을 업그레이드할 때 가장 선호되는 방식으로, 하드포크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스테이킹(Stake(v.))보상을 받고 암호화 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유동성 공급, 컨센서스) 특정한 양의 암호화 펀드를 잠그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
스왑(Swap)하나의 암호화폐를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것을 말하며 동일한 암호화 네트워크 내에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아토믹스왑)에서 스왑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토큰(Token)기존의 암호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발행된 암호화폐를 의미하며 토큰을 발행한 암호화 네트워크가 토큰의 보안을 유지합니다. |
트랜잭션(Transaction)두 암호화 계정 간의 가치 전송을 암호화하는 디지털 메시지를 의미합니다. |
TRC10 및 TRC20 토큰트론(TRON) 네트워크가 발행하고 보호하는 토큰을 의미하며 BEP20 또는 ERC20 토큰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
Txid트랜잭션 ID(txid)는 암호화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트랜잭션에 대한 해시이며 네트워크에서 자금을 추적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
UTXO소비되지 않은 트랜잭션 결과 값(Unspent Transaction Output)을 의미하며 UTXO 모델은 비트코인 및 비트코인과 유사한 암호화 네트워크가 사용하는 회계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에서, Ledger 계정으로 입금되는 모든 BTC는 비트코인 주소 및 잔금으로 표시되는 고유한 UTXO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총 BTC 잔금은 모든 UTXO의 총합입니다. |
XPUBLedger 장치가 생성하는 공개 키의 트리를 나타내는 데이터 조각으로 Ledger 계정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입출금 트랜잭션을 추적하는 데 유용합니다. 귀하의 xPub가 있는 모든 사람이 귀하의 트랜잭션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타인과 공유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